경영과 사례연구 투고 및 원고작성 규정  1.논문의 범위: 이 학술지에 게재할 논문은 본 학술지의 발간목적에 부합되고 학문적 기여도가 높은 연구 논문과 사례 연구로 한다. 제출된 논문은 기존의 연구와 그 주제 또는 방법론 등에 있어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2. 논문투고자의 의무: 투고논문은 타 학술지나 단행본 또는 보고서로서 발표되지 아니한 창의성 있는 논문에 한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른 학술지에 심사 중인 논문은 해당학술지의 심사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제출하여야 한다. 단, 심포지움이나 세미나 발표논문은 심사를 거쳐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3.논문투고자의 자격: 본지의 기고자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4. 논문의 투고: 이 학술지에 논문게재를 희망하는 연구자는 경영연구원 홈페이지(http://bri.dongguk.edu)에 있는 “논문접수안내”를 따라 논문파일을 제출한다. 투고논문의 파일은 한글97 이상, 마이크로소프트 워드2000 이상, 또는 PDF이어야 한다. 투고 시 아래 편집위원회 규정 서식에 따른 연구윤리 서약서, 저작권 이전 동의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5. 논문의 게재: 게재가 확정된 논문의 최종본은 『경영과 사례연구』 투고 및 원고 작성 요령에 의해 작성하고 이를 편집위원회에 파일 형태로 송부하여야 한다. 1.사용언어: 투고논문은 원칙적으로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학술용어 및 강조되는 용어의 표현은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외국어로 용어표기를 할 수 있다(외국어는 소문자로 시작한다). 단, 외국어 중 고유명사는 원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논문의 작성: 투고논문의 내용은 A4 규격으로 20매 내외의 분량으로 작성 되어야 하며, 국문과 영문으로 요약문을 첨부한다. 모든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가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3. 한글요약: 논문의 처음 1페이지에 논문제목, 저자 성명 및 소속, 요약을 포함 하여 한글로 작성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의 이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및 주소 등의 연락처를 표기한다. 국문요약은 500자 내외가 되어야 한다.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 단어 5개를 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4.영문요약: 논문의 마지막 1페이지는 논문제목, 저자 성명 및 소속, 요약 (abstract)을 포함하여 영문으로 작성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의 이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및 주소 등의 연락처를 표기한다. 영문요약은 200단어 내외가 되어야 하며,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단어(key words) 5개를 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영문논문의 경우 영문 요약만 논문의 처음 1페이지에 첨부할 수 있다. 5. 연구비 수혜 등의 공지: 연구비 수혜 등의 공지는 국문요약과 영문요약의 첫 페이지에 각주로 기재하며, 각주 번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6. 논문의 투고일과 수정일, 그리고 게재확정일은 논문의 국문 및 영문요약 첫 페이지에 표기한다.
7. 제목의 처리: 장, 절의 표시는 Ⅰ. 1. 1.1 과 같이 한다.
8. 표의 작성: 본문에는 표의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일련번호와 함께 표의 내용을 잘 대표하는 단어로 구성되어야 한다(예: ‘<표 1> 경영과 사례연구’). 표 설명은 표 제목 하단에 위치하며, 표는 표 설명 하단에 위치한다. 표 각주는 표의 하단에 위치하며, 표의 본문에 상첨자로 각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9.그림의 작성: 본문에서는 그림의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그림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일련번호와 함께 그림의 내용을 잘 대표하는 단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 ‘<그림 1> 경영과 사례연구’). 그림 설명은 그림 제목 하단에 위치하며, 그림은 그림 설명 하단에 위치한다.
10. 수식의 작성: 매우 짧은 수식을 제외한 모든 수식은 별도의 줄로 가운데 정렬로 작성되어야 하며, 오른쪽 끝에 일련번호를 (1), (2) 등과 같이 붙인다.
11.각주의 처리: 각주(footnote)는 될 수 있는 대로 줄이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각주는 어구의 오른쪽 상단에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를 붙여 각 면 하단에 표시한다. 각주 내용은 줄간격 130%로 작성되어야 하며, 표, 그림, 공식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12. 참고문헌의 작성: 참고문헌은 본문 뒤에 별도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야 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국어문헌, 영어문헌, 그 외의 언어로 된 문헌 순으로 열거하고 저자명에 따라 국문은 가나다순으로 영문은 ABC순으로 기재한다. (1) 정기간행물의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간행물명(이탤릭체로 표시, 한글의 경우 꺽쇠), 권(Vol.), 호(No.), 연도, 면(page)의 순으로 기재한다. 단, 영어논문의 경우 각 호(No.)의 면(page)이 전 호의 면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호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선중, 1993, “경영과 사례연구,” 「경영과 사례연구」, pp. 1-32. (2) 정기 간행물이 아닌 경우: 저자명, 도서명(이탤릭체로 표시), 출판회수(2판 이상), 권(2권 이상), 출판사명, 출판지, 출판년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다만, 출판년도는 저자명의 바로 뒤에 ( )속에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mpbell, J. Y., A. W. Lo, and A. C. Mackinlay, The Econometrics of Financial Marke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New Jersey, 1997.
13. 본문 내의 인용문헌: 본문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된 참고문헌은 본문 중에 인용되어야 한다. (1)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 주제에 대하여 김경영(1993) ...” “김경영(1993 : 32)은 ...”: 1993년도 문헌의 페이지 32의 경우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가른다. 예를 들어, “한 연구(김경영, 1993 : 32)에 의하면...” “최근의 연구(김경영, 1993 : 32 ; Anderson, 1990 : 25)에 의하면...”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2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3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의 경우 ‘000 외 0인’, 영문의 경우는 ‘et al.’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김경영 외 2인(1993 : 32) Wittrock et al.(1986 : 25)
14. 편집용지 규격 및 여백, 글자 모양, 문단모양: (1) 논문의 규격은 편집용지크기 171mm×246mm이고 여백(단위: mm)으로는 위쪽: 20, 아래쪽: 15, 머리말: 14, 꼬리말: 9 (2) 글자크기: 첫 페이지 제목 20pt, 본문 제목 15pt, 본문 11pt, 초록·핵심 주제어 및 JEL 분류번호 9pt, 각주 8pt (3) 줄간격: 한글 170%, MS Office Word 1줄
『경영과 사례연구』 편집위원장
논문 접수 및 문의처 | E-mail | bizcase.dgu@gmail.com | 전 화 | (02) 2260-3236 | 팩 스 | (02) 2260-3684 |
|